기업목록 크롤링
각 나라의 주식시장에서 찾는 것도 방법중 하나이겠다.
일본
도쿄 증권 거래소
개요
東京証券取引所とうきょうしょうけんとりひきしょ / Tokyo Stock Exchange : TSE
2022년 4월부터는 프라임(Prime, プライム), 스탠다드(Standard, スタンダード), 그로스(Growth, グロース)로 나뉘어 운영된다. 1부에 있던 기업들 대부분은 프라임으로 이관되었지만, 약 20퍼센트는 스탠다드가 되었다. 프라임 プライム市場: グローバルな投資家との建設的な対話を中心に据えた企業 (글로벌 투자자와 건설적인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기업) 스탠다드 スタンダード市場: 公開された市場における投資対象として十分な流動性とガバナンス水準を備えた企業 (공개 시장에서 투자 대상으로 충분한 유동성과 거버넌스 수준을 갖춘 기업) 그로스 グロース市場: 高い成長可能性を有する企業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업) 출처: https://namu.wiki/w/%EB%8F%84%EC%BF%84%EC%A6%9D%EA%B6%8C%EA%B1%B0%EB%9E%98%EC%86%8C
상장기업수
https://www.jpx.co.jp/listing/co/index.html 2022/12/6 기준으로 상장기업수는 프라임이 1,836개, 스탠다드에 1,451개, 그로스에 502개 기업이 있다고 한다. 전체적으로는 약 4000개 기업이 상장되어 있다고 한다.
일본의 전체기업수는 약 400만개로 알려져 있다. (https://brunch.co.kr/@eee1201/236) 이중에서 0.1%에 해당하는 4000개 기업이 상장기업이다. 일본에서 10억엔(대충 100억원)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기업은 11만개 정도, 참고로 한국은 4만개정도 라고 한다. 전세계 레벨로 하면 대충 한국의 50배 정도 잡아서 200만개 정도가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기업들이 타겟이다.
크롤링 방법 검토
아래 페이지에서 https://www2.jpx.co.jp/tseHpFront/JJK010010Action.do 리스트를 검색하고, 구글 검색 API를 사용해서 HP URL을 알아낸다. https://jerryj.tistory.com/26